본문 바로가기
근골격

어깨감입 증후군(impingement syndrome)

by 대두다당류 2024. 1. 13.
728x90

어깨감입 증후군(impingement syndrome)

 감입증후군은 어깨에서의 만성 통증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 장애는 어깨관절의 볼(ball) 위로 연부조직-회전근개 근육과 건, 견봉하 활액낭, 이두박근건-이 어깨날(견갑골)아래의 오골견봉 아치(coracoacromial arch)에 반복적으로 끼이는 과정으로 설명된다(이 아치는 오 쇄돌기, 견봉돌기, 오쇄견봉 인대로 구성되어 있다).

 

 감입증후군은 어떻게 생기는가? 여기에는 두가지 요소가 있다.

외적요소는 던지기, 라켓 스포츠, 수영, 노젓기, 역도 등과 같이 반복적인 동작으로 어깨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포함한다.

내적 요소는 대개 회전근개 근육과 다른 근육들사이에 근력의 불균형을 말한다. 건강한 어깨의 경우 상완의 바깥으로 삼각근의 강한 위쪽으로의 힘은 회전근개 근육에 의하여 저 항을 받는다. 그런 경우에 상완골의 머리부분인 볼(ball)은 팔이 어떤 위치에 있든지 상관 없이 관절 소켓내에 머물게 된다. 그러나 회전근개 근육의 안정시키는 힘이 반복적인 외상, 과사용, 나이 등에 의하여 약화되면 어깨위로 팔을 들어올리는 동작동안 상완은 위로 당겨 지고 어깨날 아래의 오골견봉아치에 부딪히게된다. 이때 반복적으로 끼이게되는 첫 구조물은 회전근개근의 건과 활액낭이다. 이들은 자극이 지속되면 건염과 활액낭염으로 발전한다.

 

 점차적으로 회전근개는 더 손상을 입게되고 흉터가 남고 퇴행성 변화를 겪게 된다. 이런 상태가 되면 견봉돌기 앞쪽 아래로 골극(bony spur)이 형성되고 이 골극은 회전근개에 다 시 손상을 주는 악순환을 밟게 된다. 회전근개의 열상은 이두박근건이 노출되고 그 결과 이두박근 건염이 생기게 된다.

상완골의 위쪽 끝과 오골견봉돌기 사이의 공간이 좁고 극상근건이 이 사이를 지나감으로 이 극상근건이 감입증후군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구조물이다.

 

증상

 

1. 증상의 시작은 점진적이다.

2. 팔을 바깥쪽으로 유지하고 회전운동을 할 때 통증이 생긴다.

3. 가슴 높이로 팔을 들고 유지하다가 손끝을 땅바닥 쪽으로 가리키면서 팔을 내릴 때 통증 이 악화된다.

4. 감입 소견-의사가 환자의 팔을 곧게 뻗게 한 후에 잡고 위쪽으로 밀 때 심한 통증이 있 다.

5. 상완골 위쪽 전방으로 압박통이 있다.

6. 통증이 밤에 악화된다.

 

원인

 

1. 강한, 반복적인 어깨 위로의 동작

2. 훈련의 빈도, 강도, 기간의 갑작스런 증가

3. 회전근개 근육의 상대적인 약화 또는 손상

4. 이전의 견봉쇄골인대의 분리증, 석회화, 해부학적 이상 등에 의하여 유발된 관절염

 

치료

 

1. 감입 상태의 첫 소견이 있을 때 한번에 20분씩 하루에 3-4회 얼음을 댄다.

2. 증상의 심한 정도에 따라 상태를 악화시키는 스포츠를 피하거나 줄인다.

3. 그러나 어깨를 완전히 쓰지 못하게 해서는 안된다. 이것은 오십견이 생기기 쉽게

4. 할 수 있기 때문에 2단계 재활 치료를 시작한다.

5. 회전근개 근육에 집중하는 재활치료를 시작한다.

6. 심한 운동을 하기 전에 회전근개 근육을 스트레칭한다.

7. 운동을 하는 동안 땀복(열을 보호하는)을 입는다.

8. 밤에 통증이 심해질 정도로 통증이 악화되면 의사를 방문한다.

728x90

'근골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목 염좌  (0) 2024.01.13
회전근개 건염(주로 극상근 건염)  (0) 2024.01.13
라르센증후군  (0) 2024.01.13
체력이란?  (0) 2024.01.12
재활운동이란  (0) 2024.01.12